철학

헤겔의 종교 철학 연구

홈런볼짱11 2022. 8. 23. 14:04

게오르그 빌헤름 프리 드러 히 헤겔은 칸트로부터 피히테와 셸링으로 이어져 오는 독일 철학의 계보에서 가장 정점에 자리 잡고 있다. 헤겔은 독일 세무사인 게오르크 루드비 헤겔의 장남으로 1770년 슈투트가르트에서 태어났다. 그는 7세에 튜트가르트 김나지움에 입학하여 그리스에 대한 강한 호기심을 느끼게 됐다.

 

 

헤겔의 생애

헤겔이 어릴 때부터 그리스에 대한 호기심을 가지게 것은 무엇보다도 뷔르템베르크의 교육제도의 영향이 컸다. 그 당시 다른 김나지움과 달리 이곳에서는 고전 라틴어 수학 문학 그리스어를 중심으로 교과과정이 편성되어 있었다. 무엇보다 헤겔이 그리스 문화에 관심을 가지게 이유는 다음과 같은 점이다.

 그 당시 독일은 정치 혼란기로 삼백여 개의 절대군주의 나라로 분열되어 절대군주들의 독자 외교권이 없어 통일된 독일의 모습을 지니지 못한 점과 경제적 어려움으로 후진성을 벗어나지 못한 점 등이다. 당시 정치 혼란으로 분열되었던 독일은 그리스의 도시국가를 이상 국가의 모델로 삼았던 것이다. 그래서 헤겔은 우선 사회 개혁의 일환으로 민중의 삶과 깊이 연관되어있는 민족 종교에 관심을 가진다. 그리하여 헤겔은 대학 시절 종교가 사회적 안에서 정화 작용을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그의 청년 시기를 종교의 본질을 찾는데 보낸다.

 

그리스도교 안에서 해답을 찾다

 헤겔은 그리스 민족의 축제에서 참된 종교의 이상적인 모습을 발견하면서 당시 독일의 현실을 그리스의 종교 안에서 극복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지고 그의 생각을 현실 안에서 찾으려고 시도한다. 헤겔은 참된 민족 종교의 발견을 통하여 조국의 현실을 극복하고자 하는 열망을 가졌다. 그러므로 헤겔의 종교에 대한 관심은 종교를 발판으로 하여 민족을 통일할 수 있는 방법을 찾으려는 데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글은 현실의 문제를 종교를 통하여 해결하고자 한 헤겔의 관심을 쫓아서 먼저 민족 종교의 출발점인 그리스 축제에 대한 관심을 살펴보고 그가 그리스도교로 사상을 전환하게 된 내력과 절대정신의 출현으로서의 삼위일체의 이념을 고찰하고 마지막으로 그의 종교에 대한 관심을 통해서 나타난 신관을 살펴볼 것이다.

 

 

헤겔의 종교 철학 전환점

 따라서 헤겔의 종교에 대한 사유의 출발점인 민족 종교의 성격과 민족 종교의 문제점을 당시 교회의 모습을 통하여 지적하고자 한다. 여기서 종교에 대한 문제점에 대한 헤겔의 생각이 칸트의 영향 아래 전환되는 것을 엿보게 될 것이다. 헤겔의 종교 연구에 대한 시도는 참된 사회적 통일을 위한 방편을 종교 안에서 찾으려는 노력이었지만 그 후에 칸트의 실천이성을 기점으르 해서 차츰 그리스도교에 그러한 문제들을 적용해보려는 노력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헤겔은 그리스도교의 경직된 모습을 보게 된다.

 이후에 헤겔의 관심이 현실을 벗어나 개인에 관한 문제로 전환되는 과정을 살피고자 한다. 여기서 헤겔은 그리스도교에 대하여 비관하던 입장을 바꾸어 그리스도교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화해를 시도한다. 헤겔은 그리스도교 정신과 운명이라는 수고에서 유다교의 정신과 예수의 정신과 운명을 대립시키고 예수의 정신인 사랑을 참된 종교의 통일로서 언급하고 있다.

 그리고 그의 말년에는 변증법을 통하여 정신의 개념을 이끌어낸다. 헤겔은 그리스도교를 변증법적 체계 속에서 삶의 이념으로 새롭게 재구성하게 된다.

 헤겔의 종교에 대한 최고의 단계라 할 수 있는 계시 종교의 출현에 대하여 다루고자 한다. 헤겔은 그리스도교를 계시 종교라고 규정하고 그리스도교의 삼위일체 이념을 아버지, 아들, 영으로 파악하고 있으며, 나아가 그것을 절대정신으로 규정한다. 헤겔이 다루었던 종교에 대한 사색은 절대 종교인 그리스도교의 출현으로 현실의 모든 분열 분리가 완전한 통일을 이루게 되었다는 것이다.

 

 

 

헤겔이 생각하는 신

결론으로 이 글을 통해 드러난 헤겔의 신에 대한 관념을 정리하는 것으로 마무리하고자 한다. 헤겔 사상의 출발점은 튀빙겐 대학시절이라 있다. 당시 헤겔 주요한 관심은 이성에 바탕을 인간의 자유를 일깨우는 것이다. 따라서 헤겔은 인간의 자유를 획득하기 위하여 당시 민족 종교인 그리스도교를 통하여 민중들을 교육하고자 한다.

 그런데 헤겔의 민중 교육 방법은 셸링이나 휠 더린처럼 문학이나 철학에서 찾지 않고 신학을 통해서 민중 교육 방법을 찾았다는데 특색이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그가 경건한 신자였을 뿐만 아니라 신학생이었고 당시 계몽주의가 종교의 성격을 지녔다는 그리고 무엇보다 해겔의 관심이 독일의 정치적 현실에서 억압받는 민중들의 삶을 절감하고 민중 교육을 통한 통일 조국의 대화를 열망하고 있었다는 등이 있다.

 그러나 헤겔은 민족 종교인 그리스도교가 민중들에게 권위의 힘으로 작용하고 있고 제도적으로 경직되었고 민중들의 정신과 분리되어 있음을 지적하고 비판을 가하게 된다. 그리하여 헤겔은 이러한 그리스도교를 벗어나 이성에 바탕한 인간의 자유를 일깨우기 위한 민족 종교의 모델을 그리스 민족의 축제 속에서 찾고 있다.

 

 

출처: 국회전자도서관